티스토리 뷰
anonymous FTP (anonymous File Transfer Protocol) : 익명의 FTP
인터넷에서 FTP를 사용할 때 anonymous FTP는 사용자들이 서버에 자신을 식별시키지 않고서도 파일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통의 FTP 사이트들은 오직 적법한 사용자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가진 사람만이 이용할 수 있는데 반해, anonymous FTP는 파일을 보거나 다운로드하기 위해 해당 서버에서 부여된 사용자 아이디나 패스워드가 없더라도 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anonymous 라고 부른다.
Anonymous FTP 서버에 접속한 뒤 사용자 아이디로 "anonymous" 라고 입력하고, 패스워드에는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로그인이 허용된다 (이때, 패스워드를 넣지 않거나 어떤 내용을 넣더라도 로그인 하는데 문제가 없지만, 대개 자신의 이메일 주소를 쳐 넣는 것이 통신상의 예의로 되어있다).
Apple Computer 네트워크 아키텍처 및 네트워크 프로토콜입니다. Macintosh 클라이언트 및 AppleT!alk 네트워크 통합(이전의 Services for Macintosh)을 사용하는 Windows 2000 Server를 실행하는 컴퓨터가 있는 네트워크가 AppleT!alk 네트워크 역할을 합니다.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 주소결정 프로토콜
ARP는 IP 네트웍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웍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여기서 물리적 네트웍 주소라 함은 이더넷 또는 토큰링의 48 bits 네트웍 카드 주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IP 호스트 A가 IP 호스트 B에게 IP 패킷을 전송고자 할 때 IP 호스트 B의 물리적 네트웍 주소를 모르는 경우, AR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목적지 IP 주소 B와 브로드캐스팅 물리적 네트웍 주소 FFFFFFFFFFFF를 가지는 ARP 패킷을 네트웍 상에 전송한다. IP호스트 B는 자신의 IP 주소가 목적지에 있는 ARP 패킷을 수신하면 자신의 물리적 네트웍 주소를 A에게 응답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수집된 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물리적 네트웍 주소 정보는 각 IP 호스트의 ARP 캐시라 불리는 메모리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 후 다음 패킷 전송시에 다시 사용된다. ARP와는 역으로, IP 호스트가 자신의 물리 네트웍 주소는 알지만 IP 주소를 모르는 경우, 서버로부터 IP주소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RARP(ReverseARP)를 사용한다.
BGP (Border Gateway Protocol)
BGP는 자율 시스템의 네트웍 내에서 게이트웨이 호스트들 간에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BGP는 인터넷상의 게이트웨이 호스트들 간에 흔히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라우팅 테이블에는 이미 알고 있는 라우터들의 목록과, 접근할 수 있는 주소들, 그리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 각 라우터까지의 경로와 관련된 비용 정보가 담겨있다.
BGP를 사용하는 호스트들은 TCP를 이용하여 통신하며, 어떤 호스트에 변경이 감지되었을 때에만 갱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내는데, 오직 연관된 부분만이 보내어진다. BGP의 최신 버전인 BGP-4 (BGP-4는 때로 하이픈 없이 BGP4라고도 표기한다) 는 관리자들의 정책 제시에 기초를 둔 비용표를 구성할 수 있게 한다.
BGP는 IGP와는 잘 동작하지 않기 때문에, IBGP를 이용하여 자율 네트웍과 통신한다. 자율 네트웍 내부에 있는 라우터들은, IGP를 위한 것과, IBGP를 위한 것 등, 모두 두 개의 라우팅 테이블을 유지한다.
BGP-4는 네트웍 내에서 현재의 IP 주소할당 방식에 비해, 더 많은 주소들을 가지기 위한 방법인 CIDR을 사용하기 쉽게 만든다.
BGP는 EGP에 비해 좀더 최신 프로토콜이다.
IGP와 OSPF 내부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을 함께 참조하라.
BOOTP (Bootstrap Protocol) ; 초기 적재 통신 규약
BOOTP는 네트웍 사용자가 자동으로 구성되고(IP 주소를 받게), 사용자의 간여 없이도 부트되는 운영체계를 가지고 있게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X 터미널 등과 같이 하드디스크를 갖지 않은 장치의 설정 정보를 자동적으로 할당, 관리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네트웍 관리자에 의해 관리되는 BOOTP 서버는, 일정 시간동안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BOOTP는 좀더 진보된 네트웍 관리 프로토콜인 DHCP의 기반이 된다.
CBCP(Callback Control Protocol) -
원격 클라이언트와 콜백 정보를 협상하는 프로토콜입니다. CBCP는 Callback Control Protocol이라고도 합니다.
CMIP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Protocol) ; 공통 관리 정보 프로토콜
CMIP[씨밉프]는 OSI 통신 모델 상에 근거한 네트웍 관리 프로토콜로 데이터의 크기의 제한이 없다. OSI 에서 개발하였고 OSI 7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이와 관련된 CMIS (Common Management Information Services)는 네트웍 객체나 장치들에 대한 액세스 정보와, 그들을 제어하고, 또 상태 보고서를 수신하기 위한 서비스를 정의한다.
기본요소는 관리 시스템, 관리 대리 시스템, 관리 통신 프로토콜, 관리 정보 4개로 구성된다.(SNMP와 비교)
CORBA (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
CORBA[코-바]는 네트웍에서 분산 프로그램 객체를 생성, 배포, 관리하기 위한 구조와 규격이며, 네트웍 상의 서로 다른 장소에 있고 여러 벤더들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들이 “인터페이스 브로커”를 통해 통신하도록 해준다. CORBA는 OMG라는 개발자 연합(현재 500여 회원사를 가지고 있다)에서 개발되었다. ISO와 X/Open 양측 모두 CORBA를 분산 객체(컴포넌트로도 알려진)를 위한 표준구조로서 인가하였으며, 현재 CORBA 2.0 이 최신 레벨이다.
CORBA의 핵심개념은 ORB(Object Request Broker)이다. 이기종 컴퓨터들의 클라이언트와 서버 네트웍에 대한 ORB 지원이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객체 자신일 수 있다)이 분산 네트웍에서 서버가 어디 있는지, 또는 서버 프로그램이 어떤 인터페이스를 가질지 인식하지 않고서도, 서버 프로그램이나 객체로부터 서비스를 요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RB들간의 요구와 응답을 성립시키기 위해 프로그램들은 GIOP(General Inter-ORB Protocol)를, 인터넷에서는 IIOP(Internet Inter-ORB Protocol)를 사용한다. IIOP는 GIOP의 요구와 응답을 각 컴퓨터의 인터넷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계층으로 대응시킨다.
CORBA의 경쟁대상은 독자적인 분산 객체 구조를 가진 마이크로소프트의 DCOM(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이다. 그러나 CORBA와 마이크로소프트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COM 클라이언트 객체가 CORBA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합의하였다 (그 역방향의 통신도 마찬가지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CORBA를 향한 분산 프로그래밍 구조의 선두주자였던 DCE는 현재 많은 회사에서 사용되고 있다. DCE는 아마 CORBA와 함께 계속 존재할 것이고 둘 사이를 연결시켜 주는 "다리"가 나타날 것이다.
CHAP (Challenge-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CHAP은 PAP (Password Authentication Procedure)에 비해, 시스템에 보다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절차이다. 아래에 CHAP이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설명하였다.
- 서버는 링크가 확립된 후에, 접속 요청자에게 유효성 확인 메시지를 보낸다. 접속 요청자는 단방향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획득된 값으로 응답한다.
- 서버는 해시 값을 나름대로 계산한 결과와 요청자가 응답한 값을 비교, 확인한다.
- 만약 두 값이 서로 맞으면, 인증이 승인되며, 그렇지 않으면 그 접속은 대개 종료된다.
서버는 언제라도, 접속된 상대방에게 새로운 유효성 확인 메시지를 보낼 것을 주문할 수 있다. CHAP 식별자들이 자주 변화하고, 서버는 접속 요청자에게 언제라도 인증을 요청할 수 있기 때문에, PAP에 비해 CHAP이 더 안전하다. RFC1334에 CHAP과 PAP 모두가 정의되어 있다.
CLNP (Connectionless Network Protocol)
CLNP는 원래 OSI 7계층 모델에 기반을 두고 있으면서, TCP/IP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일련의 프로토콜 군이다. 그러나 결국 그렇게 되지는 못했지만, CLNP 프로토콜군 중에 IS-IS라는 프로토콜은 인터넷이 확장됨에 따라 그 범위성 때문에 인터넷 기술에서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되게 되었다.
DLC (Data Link Control) ; 데이터 링크 제어
DLC는 네트웍 통신을 위해 OSI 내에 정의된 기능인 데이터 링크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네트웍 내의 하나의 물리적인 경로 전체에 거쳐,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해야할 책임이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본적인 기능들에는 프레임 정의, 프레임 상의 에러 감지 및 교정, 그리고 흐름제어 수행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 존재하는 점대점 프로토콜들로는 HDLC, SDLC, LAPB 그리고 ADCCP (Advanced Data Communications Control Procedure)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프로토콜들 전부는 사실상 매우 비슷하며, X.25와 같은 오래된 네트웍 내에서도 발견된다. 인터넷에서는, 두 개의 점대점 프로토콜 중 하나가 이 계층에서 사용되는데, 그 중 하나가 SLIP이고, 다른 하나는 PPP 이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모두, 도시권통신망이나 광역통신망 백본, 또는 우리가 집에서 모뎀을 이용하여 ISP에 다이얼업 접속을 할 때 등과 같은 점대점 접속에 사용된다.
점대점 보다 회선 공유 관리가 더 많이 필요한 근거리통신망과 같은 멀티포인트 접속에서는, 데이터 링크 계층이 두 개의 서브 계층으로 나뉘어지는데, 하나는 LLC (Logical Link Control)이고 다른 하나는 MAC (Media Access Control)이다. LLC 프로토콜은, 위에 설명한 점대점 데이터링크 제어 프로토콜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가 많다. MAC 프로토콜들은 여러 대의 컴퓨터들 사이에 하나의 회선을 공유하는 방법을 지원한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MAC 프로토콜은 이더넷 (IEEE 802.3), 토큰버스 (IEEE 802.4), 그리고 토큰링 (IEEE 802.5)과 그 변종들이다.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DHCP는 네트웍 관리자들이 조직 내의 네트웍 상에서 IP 주소를 중앙에서 관리하고 할당해줄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의 TCP/IP 프로토콜에서는, 각 컴퓨터들이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야만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조직에서 컴퓨터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IP 주소는 각 컴퓨터에 반드시 할당되어야만 한다. DHCP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각 컴퓨터마다 IP 주소가 수작업으로 입력되어야만 하며, 만약 컴퓨터들이 네트웍의 다른 부분에 속한 장소로 이동되면 새로운 IP 주소를 입력해야 한다. DHCP는 네트웍 관리자가 중앙에서 IP 주소를 관리하고 할당하며, 컴퓨터가 네트웍의 다른 장소에 접속되었을 때 자동으로 새로운 IP 주소를 보내줄 수 있게 해준다.
DHCP는 주어진 IP 주소가 일정한 시간동안만 그 컴퓨터에 유효하도록 하는 "임대" 개념을 사용한다. 임대시간은 사용자가 특정한 장소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인터넷 접속이 필요할 것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DHCP는 사용자들이 자주 바뀌는 학교와 같은 환경에서 특히 유용하다. DHCP는 사용 가능한 IP 주소의 개수보다 더 많은 컴퓨터가 있는 경우에도 IP 주소의 임대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네트웍을 동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다.
DHCP는 영구적인 IP 주소를 필요로 하는 웹서버에 대해서는 정적인 주소를 제공한다.
DHCP는 네트웍 IP 관리 프로토콜인 BOOTP (Bootstrap Protocol)의 대안으로 사용된다. DHCP가 더욱 진보된 프로토콜이지만, 두 개의 프로토콜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어떤 조직에서는 두 개의 프로토콜 모두를 사용하지만, 동일한 조직에서 그것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이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윈도우NT와 같은 몇몇 운영체계에는 DHCP 서버가 딸려 나온다. DHCP 또는 BOOTP 클라이언트는 네트웍이 구성될 수 있도록 각 컴퓨터에 위치하는 프로그램이다.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인터네트워킹 프로토콜은 IGP와 EGP로 나눌 수 있다. IGP는 기관내 혹은, 조직내 라우팅에 사용하며 대표적인 표준 프로토콜로는 RIP, OSPF 등이 있는데 작은 규모의 네트웍에서는 RIP을 사용하고 대규모의 계층적 구조에서 OSPF를 많이 사용한다.
그에 반하여 EGP는 연구기관이나 국가기관, 대학, 기업간, 즉 도메인 간을 연결하는 인터넷 라우팅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한 공인된 기관이 ISP인 한국통신이나 데이콤과 인터넷으로 연결할 때는 ISP와 연결하는 AS 라우터에 EGP의 한 종류인 BGP를 적용하여 연결하며, 그 기관의 내부 통신 프로토콜로는 RIP이나 OSPF를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초창기 EGP는 RFC 904에 언급되어있으며 현재는 BGP나 IDRP(Interdomain Routing Protocol)로 대체된다. BGP는 EGP의 라우팅 루프를 발견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으며 BGP 버전 3은 RFC1163 에 명시되어 있다. BGP 패킷 형태는 Marker, Length, Type 3개의 필드로 된 19 바이트 크기의 헤더와 데이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open, update, notification, keepalive의 4개 메시지 타입이 있다. IDRP는 OSI 프로토콜로서 BGP와 비슷하다. IDRP는 DECnet phase V에 기초를 둔 IS-IS와 ES-IS, 그리고 CLNP와 IP를 함께 지원하는 Integrated IS-IS과 함께 운영할 수 있다
FTP (File Transfer Protocol) ; 파일 전송 프로토콜
FTP[에프 티 피]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가장 간단한 방법이기도 하다.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웹 페이지와 관련 파일들을 전송하는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등과 같이, FTP도 역시 인터넷의 TCP/IP 응용 프로토콜 중의 하나이다. FTP는 웹 페이지 파일들을 인터넷상에서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저작자의 컴퓨터로부터 서버로 옮기는 과정에서 사용된다. 또한, 다른 서버들로부터 자신의 컴퓨터로 프로그램이나 파일들을 다운로드 하는 데에도 많이 사용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간단한 명령어를 통하여 FTP를 쓰거나, 또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상용 프로그램을 쓸 수도 있다. 보통은 웹 브라우저도 웹 페이지로부터 선택한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하는데 FTP를 사용한다. FTP를 사용하여 서버에 있는 파일을 지우거나 이름을 바꾸거나 옮기거나 복사하는 등 갱신작업을 할 수도 있다. FTP 서버에는 로그온을 해야하지만, 익명의 FTP를 사용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공개된 파일들을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FTP는 보통 TCP/IP에 함께 딸려오는 일련의 프로그램 속에 포함되어 있다.
HTTPD (Hypertext Transfer Protocol daemon)
웹상에서, 각 서버는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요청들을 기다리는 HTTPD를 가진다. 데몬이란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웹스터 사전의 해석에 따르면 "수호신 또는 영혼" 등을 의미를 갖는다. 데몬은 들어오는 요청들을 기다리고 있다가, 그것들이 적절히 처리될 수 있도록 전달한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 하이퍼텍스트 전송 규약
HTTP[에치티티피]는 웹 상에서 파일(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사운드, 비디오 그리고 기타 멀티미디어 파일)을 주고받는데 필요한 프로토콜로서 TCP/IP와 관련된 하나의 응용 프로토콜이다.
HTTP의 한 부분을 이루는 중요한 개념들은 - 그 이름에도 내포되어 있듯이 - 모든 파일들이 다른 파일들에 대한 참조 링크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며, 그 링크를 선택하면, 또다른 내용이 추가적으로 전달되는 식의 아이디어로 되어 있다. 웹 서버는 모두 HTTP 데몬을 가지고 있는데, 이 프로그램은 HTTP 요청을 기다리고 있다가 요청이 들어오면 그것을 처리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HTTP의 입장에서의 웹 브라우저는 서버에 요구를 전달하는 하나의 클라이언트이다. 사용자가 URL을 입력하거나, 하이퍼텍스트 링크를 클릭 함으로써 파일을 요구하면, 브라우저는 HTTP 요구를 URL에 적혀있는 IP 주소에 전달한다. 지정된 서버상의 HTTP 데몬은 그 요구를 받아서, 필요한 작업이 혹 있다면 처리를 한 뒤에 요구된 파일을 찾아서 보내준다.
현재 HTTP의 최신판은 버전 1.1 이다.
IGMP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 인터넷 그룹 관리 프로토콜
IGMP는 인터넷 컴퓨터가 멀티캐스트 그룹을 인근의 라우터들에게 알리는 수단을 제공하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멀티캐스팅은 인터넷상의 한 호스트 컴퓨터가 미리 지정된 다수의 다른 컴퓨터들에게 콘텐츠를 보낼 수 있도록 허용한다. 멀티캐스팅은 현장에서 이동용 컴퓨터 사용자들의 주소록을 수정하거나, 배포 목록에 맞추어 회사의 회보를 보내는 업무, 그리고 멀티캐스트 그룹 회원을 설정함으로써 수신 파장을 맞춘 청중들에게 스트리밍 매체의 고대역폭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등과 같은 일에 사용될 수 있다.
IGMP는 OSI 참조 모델에서 네트웍 계층의 일부이다.
IGRP (Internet Gateway Routing Protocol)
IGRP는 시스코 시스템즈 고유의 IGP 프로토콜로서, 다른 게이트웨이들과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게이트웨이들이 자신들의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게이트웨이는 인접 게이트웨이들과 수정된 라우팅 정보를 교환함으로써 다른 네트웍들에 관한 정보를 얻는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서, 게이트웨이는 각 네트웍으로 향하는 최적의 길을 나타내는 하나의 경로를 발견할 것이다. 이 경로는 패킷이 보내져야할 다음 게이트웨이, 사용되어야할 네트웍 인터페이스, 그리고 메트릭 정보 등에 의해 특성화된다. 메트릭 정보는 그 경로가 얼마나 좋은지를 나타내는 일련의 숫자들이다. 이 정보를 이용하면, 게이트웨이가 다방면의 게이트웨이들로부터 들었던 경로들을 비교하여, 어떤 경로를 사용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두 개 이상의 경로들 사이에서 트래픽을 분리하는 것이 이치에 닿는 경우가 있을텐데, 두 개 이상의 경로들이 모두 좋은 경우라면 IGRP는 항상 그렇게 한다.
IIOP (Internet Inter-ORB Protocol)
IIOP는 일종의 객체 지향 프로토콜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로 쓰여진 분산 프로그램이 인터넷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한다. IIOP는 전략적 산업 표준인 CORBA(Common Object Request Broker Architecture)의 핵심 부분이다. CORBA의 IIOP 그리고 관련 프로토콜을 이용하면, 한 회사가 다른 회사의 프로그램에 대해 그들이 어디 있든지 상관없이, 그 서비스의 내용과 이름만을 알고서도 서로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 CORBA와 IIOP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소위 DCOM(Distributed Component Object Model)과 비슷한 전략으로 경쟁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와 CORBA의 스폰서인 OMG는 두 모델 간에 다리를 놓는 소프트웨어 개발에 동의함으로써, CORBA로 설계된 프로그램이 DCOM으로 설계된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하였다.)
CORBA와 IIOP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항상 요구하고 서버 프로그램이 클라이언트의 요구를 기다리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가정한다. 프로그램 작성시, GIOP(General Inter-ORB Protocol)라 불리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데, GIOP는 하나 이상의 네트웍 전송 계층을 위해 특화된 매핑으로 구현되었다. GIOP의 가장 중요한 특화 매핑은 IIOP로, 이것은 TCP를 이용한 인터넷의 전송 계층에서 요구를 전하거나 응답을 받는 것이다. 다른 가능한 전송 계층으로는 IBM의 SNA (Systems Network Architecture)와 Novell의 IPX가 있다.
클라이언트가 네트웍 상 어딘가에 있을 어떤 프로그램에 대해 처리요구를 하려면, 그 프로그램의 주소를 가져야 하는데, 이 주소를 IOR (Interoperable Object Reference)이라고 부른다. IIOP를 이용할때, 주소의 일부는 서버의 포트 번호와 IP주소에 기반을 둔다. 클라이언트 컴퓨터에서, IOR을 더 사용하기 쉬운 프럭시(proxy) 이름으로 대응시키는 표가 만들어질 수 있다. GIOP는 프로그램이 IOR과 연결하여 그에게 요청할 수 있도록 한다(그리고 서버가 응답을 보내도록 한다). CDR (Common Data Representation)은 자료를 암호화/복호화 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표준 방식으로 교환하도록 한다.
유사한 프로토콜로, RMI (Remote Method Invocation)는 썬마이크로시스템즈가 자바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플랫폼간 구조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하였다. 썬은 RMI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IIOP에 전사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IMAP (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IMAP[아이맵]은 로컬서버에서 전자우편을 액세스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IMAP은 인터넷 서버를 이용하여 전자우편을 수신하고 보관하는 클라이언트/서버형 프로토콜이다. 사용자 (또는 사용자의 전자우편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는 편지의 제목과 송신자를 보고, 메일을 실제로 다운로드할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서버에 폴더나 우편함을 만들거나 관리할 수 있으며, 메시지를 지우거나 메시지의 일부 또는 전체의 내용에 대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IMAP은 사용자의 메일을 송수신하기 위해 업무시간 중에 지속적으로 서버에 액세스해야한다.
좀더 덜 복잡한 프로토콜이 POP3이다. POP3를 이용하면 사용자의 메일은 서버의 우편함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메일을 읽을 때 즉시 사용자의 컴퓨터로 다운로드되며, 서버에는 더 이상 남아있지 않게 된다.
IMAP은 원격 파일서버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POP은 "저장 및 전달"서비스를 수행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POP과 IMAP은 전자우편의 수신을 담당하므로, 인터넷상의 각 지점으로 전자우편을 전송하는 프로토콜인 SMTP와 혼동하지 말아야한다. 송신측에서 SMTP를 이용하여 메일을 보내면, 상대방의 메일관리자는 수신인을 대신해서 그 메일을 받아놓는다. 그후 수신인은 그 메일을 POP이나 IMAP을 이용하여 읽을 수 있게된다.
IP (Internet Protocol)
IP[아이피]는 인터넷상의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를 보내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인터넷상의 각 컴퓨터, 즉 호스트들은 다른 컴퓨터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갖는다. 사용자가 전자우편이나 웹페이지 등과 같은 데이터를 보내거나 받을 때, 메시지는 패킷이라고 불리는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진다. 이러한 각 패킷에는 송신자의 인터넷 주소와 수신자의 인터넷 주소가 들어있다. 어떤 패킷이라도 게이트웨이 컴퓨터로 먼저 보내질 수 있다. 게이트웨이 컴퓨터는 수신지 주소를 읽고 그 패킷을 인근의 게이트웨이로 넘긴다. 이후 차례로 그 패킷이 속한 컴퓨터의 바로 인근이거나 해당 도메인에 있는 게이트웨이가 그것을 받아볼 때까지 수신지 주소를 읽기를 반복하면서 게이트웨이들은 패킷의 전달을 계속해 나간다. 해당 도메인의 게이트웨이는 그 패킷을 받으면, 패킷에 적힌 주소의 컴퓨터로 직접 전달한다.
한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졌기 때문에, 각 패킷은 필요한 경우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보내어질 수도 있으며, 패킷들은 원래의 보낸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도착될 수도 있다. 그러나, IP는 그저 그것들을 배달만 할 뿐이며, 순서가 흐트러진 패킷들을 올바르게 재 정렬하는 것은 다른 프로토콜인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가 해야할 일이다.
IP는 커넥션리스 프로토콜이므로, 통신 중에 양단간의 접속이 확립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 패킷들은 인터넷을 통해 전달되면서 다른 패킷들과는 아무런 상관관계가 없는 것처럼 독립적인 단위로 취급된다. OSI 통신 참조모델에서 IP는 세 번째 계층인 네트웍 계층에 속한다.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IP 버전은 흔히 IPv4라고 표기되는 버전 4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버전 6인 IPv6 역시 사용되기 시작했다. IPv6는 좀더 긴 인터넷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더 많은 사용자를 지원할 수 있다. IPv6는 IPv4의 능력을 포함하며, IPv6를 지원할 수 있는 서버는 IPv4 패킷도 함께 처리할 수 있다
IPP(Internet Printing Protocol)
원거리 접속 프린터 서버을 구축해서 프린터 물을 출력할 때 출력을 가능하게 해주는 프로토콜
IPX (Internetwork Packet Exchange)
IPX[아이 피 엑스]는 네트웨어 클라이언트와 서버를 사용하는 네트웍을 상호 연결하는 노벨의 네트워킹 프로토콜이다. IPX는 데이터그램 또는 패킷 프로토콜이다. IPX는 통신프로토콜의 네트웍 계층에서 동작하며, 패킷 교환 중에 커넥션이 계속 유지될 필요가 없는 커넥션리스 프로토콜이다.
패킷 수신통보는 노벨의 또다른 프로토콜인 SPX (Sequenced Packet Exchange)에 의해 관리된다. 관련된 노벨 네트웨어의 다른 프로토콜로는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SAP (Service Advertising Protocol) 및 NLSP (NetWare Link Services Protocol) 등이 있다.
특징: OSI 계층의 3계층, 라우터블 프로토콜이다.
IPv6 (Internet Protocol Version 6)
IPv6[아이피 버전 씩스]는 최신의 IP로서, 이제 주요 컴퓨터 운영체계를 비롯한 많은 제품에서 IP 지원의 일부로서 포함되고 있다. IPv6는 IPng (IP Next Generation), 즉 차세대 IP라고도 불리고 있다. IPv6는 일련의 IETF 공식 규격이다. IPv6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 버전4를 개선하기 위한 진화적 세트로서 설계되었다. IPv4나 IPv6를 채용하고 있는 네트웍 호스트들과 중간 노드들은 두 가지 등급의 IP 중 어느 것에 의해 형식화된 패킷이라도 처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들이나 서비스 제공자들은 다른 측과의 협조해야 할 필요 없이, 각기 독립적으로 IPv6로 갱신할 수 있다.
IPv6가 IPv4에 보다 가장 명백하게 개선된 점은 IP주소의 길이가 32 비트에서 128 비트로 늘어났다는 점이다. 이러한 확장은 가까운 장래에 인터넷이 폭발적으로 성장함으로써, 네트웍 주소가 금세 부족해 질것이라는 우려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IPv6는 유니캐스트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하나의 호스트로), 애니캐스트 (하나의 호스트에서 가까이 있는 여러 개의 호스트들로), 멀티캐스트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중 호스트들로) 등 3가지 형태의 주소에 관한 규칙을 가지고 있다. 그외에 IPv6의 부가적인 이점들은 다음과 같다.
- 확장된 헤더에 선택사항들을 기술할 수 있으며, 이것은 수신지에서만 검색되므로 네트웍 속도가 전반적으로 빨라진다.
- 애니캐스트 주소의 도입은 하나의 메시지를 가까이 있는 여러 개의 게이트웨이 호스트들에게 보낼 수 있는 가능성과, 그들 중 누구라도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 패킷을 관리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함께 제공한다. 애니캐스트 메시지들은 회선을 따라 이동하면서 라우팅 테이블을 수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 특정한 흐름에 속해 있는 패킷들을 인식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달될 필요가 있는 멀티미디어 표현용 패킷들이 다른 고객들에 비하여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 IPv6는 헤더가 확장됨으로서, 패킷의 출처 인증, 데이터 무결성의 보장 및 비밀의 보장 등을 위한 메커니즘을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ICP (Internet Cache Protocol)
ICP[아이 씨피]는 프럭시서버가 원하는 내용을 검색하기 위해 인터넷에 가지 않아도 되도록, 다른 프럭시서버에게 캐시되어 있는 웹페이지를 질의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PSec (Internet Protocol Security protocol)
IPSec은 네트웍이나 네트웍 통신의 패킷 처리 계층에서의 보안을 위해, 지금도 발전되고 있는 표준이다. 이전의 보안 기법들에서는 보안이 통신 모델의 응용 계층에 삽입되었었다. IPSec은 가상 사설망과 사설망에 다이얼업 접속을 통한 원격 사용자 접속의 구현에 특히 유용할 것이다. IPSec의 커다란 장점은 개별 사용자 컴퓨터의 변경 없이도 보안에 관한 준비가 처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시스코는 IPSec를 표준으로 제안하는데 선두주자였으며, 자신들의 네트웍 라우터에 이 기능의 지원을 포함하였다.
IPSec은, 본질적으로 데이터 송신자의 인증을 허용하는 인증 헤더 (AH)와, 송신자의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를 함께 지원하는 ESP (Encapsulating Security Payload) 등, 두 종류의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각 서비스에 관련된 명확한 정보는 IP 패킷 헤더의 뒤를 잇는, 헤더 속의 패킷에 삽입된다. ISAKMP/Oakley 프로토콜과 같은 별개의 키 프로토콜들이 선택될 수 있다.
ICMP (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ICMP는 호스트 서버와 인터넷 게이트웨이 사이에서 메시지를 제어하고 에러를 알려주는 프로토콜로서 RFC 792에 정의되어있다. ICMP는 IP 데이터그램을 사용하지만, 메시지는 TCP/IP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되며, 응용프로그램 사용자에게 직접 분명하게 보이지는 않는다. 일례로서, ping 명령어는 인터넷 접속을 테스트하기 위해 ICMP를 사용한다.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IGP[아이지피]는 기업의 근거리통신망과 같은 자율 네트웍 내의 게이트웨이들 간에 라우팅 정보를 주고받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라우팅 정보는 전송내용을 어떤 경로로 보내야 하는지를 기술하기 위해, IP 또는 그 밖의 다른 네트웍 프로토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두 가지 IGP로는 RIP과 OSPF가 있다.
LDAP (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LDAP는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네트웍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LDAP는 DAP의 경량판(코드의 량이 적다는 의미임)이며, 네트웍 내의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인 X.500의 일부이다. LDAP는 초기 버전에 보안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가볍다. LDAP는 미국 미시간 대학에서 유래되었으며, 적어도 40개 이상의 회사에 의해 뒷받침되어왔다. 넷스케이프는 자신들의 커뮤니케이터 최신판에 LDAP를 포함하였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액티브 디렉토리라고 부르는 제품의 일부로서 LDAP를 포함하였다. 노벨 네트웨어 디렉토리 서비스는 LDAP와 상호 운영된다. 시스코 또한 자신들의 네트워킹 제품에서 LDAP를 지원한다.
네트웍에서, 디렉토리란 어떤 자원이 네트웍 상의 어디에 있는가를 알려준다. 인터넷을 포함한 TCP/IP 네트웍에서, DNS는 특정 네트웍 주소와 도메인 이름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디렉토리 시스템이다. 그러나, 때로는 도메인 이름 조차 모를 수 있는데, LDAP는 개체가 어디에 있는지 알지 못하더라도 그것을 검색할 수 있게 한다 (비록 추가정보가 있으면, 검색시 도움은 되겠지만).
LDAP 디렉토리는 아래에 나타낸 것처럼, 계층으로 구성되는 단순한 트리 구조이다.
- 루트 디렉토리 (시작위치 또는 트리 구조의 근원), 각각 아래로 뻗어나간다
- 국가들, 각각 아래로 뻗어나간다
- 기관들, 각각 아래로 뻗어나간다
- 기관별 단위 (부서 등), 각각은 아래로 뻗어나간다
- 개체들 (사람, 파일, 및 프린터 등과 같은 공유자원들)
LDAP 디렉토리는 많은 서버들 사이에 분포될 수 있다. 각 서버는 전체 디렉토리의 사본을 가질 수 있으며, 그 내용을 주기적으로 동기화된다. LDAP 서버는 DSA(Directory System Agent)라고도 불린다. 사용자로부터 요청을 받는 LDAP 서버는 요청에 대한 책임을 지며, 필요하다면 그것을 다른 DSA들로 전달하지만, 사용자에게는 공동 작용을 통한 단일 응답을 보장한다.
MGCP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MGCP는 H.248 또는 Megaco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멀티미디어 회의 진행 중에 필요한 신호 운용 및 세션 관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회선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을 패킷 교환망에 필요한 데이터 형식으로 변환시켜 주는 미디어 게이트웨이와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장치 사이의 통신 방법을 정의한다. MGCP는 다중 종단 간의 호를 설정, 관리히가니 종결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Megaco와 H.248은 MGCP를 강화한 버전을 가리킨다.
이 표준은 IETF에 의해서는 Megaco (RFC 3015)라는 이름으로, 그리고 ITU-T의 통신 표준화 부문에 의해서는 H.248이라는 이름으로 추천되었다. 이전의 ITU-T 프로토콜이었던 H.323은 근거리통신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대규모 공중 네트웍용으로 확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못했다. MCGP와 Megaco/H.248 모델은 게이트웨이로부터 신호 제어를 제거하고, 그 기능을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에 집어넣어 여러 대의 게이트웨이를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MGCP는 IPDC (Internet protocol device control)와 SGCP (simple gateway control protocol) 등 두 개의 다른 프로토콜로부터 만들어졌다. RFC 2705에 정의되어 있는 MGCP는 미디어 게이트웨이 제어기가 마스터 역할을 하는 마스터-슬레이브 모델의 응용 계층에서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MGCP는 제어기가 각 통신 종점의 위치와 미디어 역량을 결정함으로써 모든 참가자들을 위한 서비스 레벨을 선택할 수 있게 해준다. MGCP의 후속 버전인 Megaco/H.248은 다중 게이트웨이는 물론, 게이트웨이 당 더 많은 포트 수와 TDM 및 ATM 통신을 지원한다.
MVIP (Multi-Vendor Integration Protocol)
MVIP는 Natural Microsystems을 비롯한 몇몇 회사들과 주요 지지자들에 의해 시작된 PC용 음성 버스와 스위칭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PC 내에 2차 통신 버스를 제공하는데, 이는 하나의 음성 카드로부터 최고 256개까지의 전이중 음성 채널을 다중화하는데 사용된다.
디지털 음성, 팩스, 비디오 등은 각 ISA, EISA 및 MCA 카드의 상단에 연결된 리본 케이블 상에 실린다. 예를 들어, 몇몇 팩스 보드들은 자신들의 회선들을 T1 채널 상에 다중화하는 하나의 보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2차 버스의 고대역폭을 이용하여, 화상회의 시스템이 MVIP를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MVIP 제품들은 소규모 PBX와 같은 일을 수행하는 PC를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의 카드에 붙어있는 대화형 음성 응답시스템이, 걸려오는 전화 대화를 콜센터의 라이브 에이전트 회선으로 전환하는 카드에게 넘겨줄 수 있을 것이다.
표준 AT 버스에 카드를 꼽고, 음성 및 화상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능력은 공급자들에게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열고 있다. 이를 통해 훨씬 더 유연하고 알맞은 시스템을 만들 수 있으며, 전세계적인 인터페이스 문제를 푸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많은 나라로부터 만들어진 다양한 인터페이스 카드가 꼽힐 수 있는 MVIP 제품은, 전세계의 전화 시스템에 접속될 수 있다.
Modem error-correcting protocols (Xmodem, Ymodem, Zmodem, V.42) ; 모뎀 에러교정 프로토콜
전송 에러의 감지와 교정에 사용하기로 합의된 모뎀 프로토콜들은, Xmodem 프로토콜이 사실상의 표준이 된 1978년이래, 정확도, 속도, 효율 등에 있어 계속 발달해왔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모든 프로토콜 데이터는 일정 바이트 크기의 블록으로 나뉘어 수신지 모뎀으로 보내어지는데, 수신 측에서는 각 블록의 에러를 확인하여 그 결과에 따라 긍정적 통지 (ACK) 또는 부정적 통지 (NAK)를 반환하게 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대체로 재전송이 이루어진다). 에러 확인을 체크섬으로 할 것인지 CRC로 할 것인지 등과 같은 확인 방식과, 응답이 보내지는 빈도 등은 프로토콜마다 다르다. 오늘날, 새로운 모뎀들은 V.42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오래된 모뎀들을 위해 이전의 프로토콜들도 여전히 사용된다.
프로토콜 | 블록 크기 | 응 답 빈 도 | 확인방식 | 그 외 의 정 보 |
---|---|---|---|---|
Xmodem | 128 bytes | 매 블록마다 | Checksum | MODEM7이라고도 부른다 |
Xmodem CRC | 128 bytes | 매 블록마다 | CRC | CRC는 체크섬이 잡지 못하는 에러도 탐지한다 |
Xmodem-1K | 1024 bytes | 매 블록마다 | CRC | 큰 파일에 더 적합하다 |
WXmodem | 128 bytes | 매 블록마다, 그러나 다음 블록을 받기 전에 송신자를 붙잡지는 않는다 | Checksum | Xmodem보다 더 효율적이다 |
Ymodem | 1024 bytes | 매 블록마다 | CRC | 한 개의 명령으로 여러 개의 파일을 보낼 수 있는 배치 모드를 포함한다 |
Ymodem-g | 1024 bytes | 스트림으로 보내어진 블록에 에러가 감지되고, 모두 성공적으로 도착해야 할때에만 | CRC | 배치 전송을 지원한다 |
Zmodem | 512 bytes | 에러가 있는 블록이 발견되었을 때 | CRC | 이미 전송된 블록을 다시 송신하지 않고서도, 전송을 중단하거나 재개할 수 있다 |
Kermit | 컴퓨터 시스템에 맞게 설정 | 에러가 있는 블록이 발견되었을 때 | Checksum | 회선 중단 후에도 전송을 다시 동기화 시킬 수 있다 |
V.42 (LAPM) | 128 bytes | 응답 전에 최고 15 개의 블록 (프레임)이 송신될 수 있다 | CRC | V.42 MNP4보다 우월하다 |
V.42 (MNP4) | 가변적임 | 에러가 있는 패킷(또는 블록)이 발견되었을 때 | CRC | 양쪽 모뎀에서 LAPM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쓴다 |
NNTP (Network News Transfer Protocol)
NNTP[에넨티피]는 유즈넷 뉴스그룹 상에 올려진 글들을 관리하기 위해 컴퓨터들(클라이언트와 서버 모두)에 의해 사용되는 주된 프로토콜이다. NNTP는 원래 유즈넷 프로토콜이었던 UUCP (UNIX-to-UNIX Copy Protocol)를 대체한 것이다. NNCP 서버는 수집된 유즈넷 뉴스그룹들의 네트웍을 관리하고, 인터넷 액세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버를 전체의 일부로서 포함시킨다. NNTP 클라이언트는 넷스케이프나, 인터넷 익스플로러, 오페라 또는 다른 웹브라우저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 있으며, 뉴스리더라고 불리는 별도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도 있다.
Protocol ; 프로토콜
프로토콜 본래의 의미는 외교에서 의례 또는 의정서를 나타내는 말이지만, 네트웍 구조에서는 표준화된 통신규약으로서 네트웍 기능을 효율적으로 발휘하기 위한 협정이다. 즉, 통신을 원하는 두 개체간에 무엇을, 어떻게, 언제 통신할 것인가를 서로 약속한 규약이다.
컴퓨터 네트웍의 규모가 증가되고 네트웍을 이용한 정보전송 수요가 다양화되며,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장비가 계속 증가되는 최근의 환경에서, 효율적인 정보 전달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의 기능이 분화되고 복잡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러한 환경적인 요구를 만족하기 위해서는 프로토콜 계층화의 개념이 필요하게 되었다.
프로토콜 계층화의 개념은 마치 구조적 프로그래밍 개념과 비슷한데, 각 계층은 모듈과 같으며 각 계층의 수직적 상하관계는 top-down 구조와 같다. 즉, 네트웍의 프로토콜 계층화는 하위계층이 상위계층을 서비스하는 것과 같으며 호출 프로그램과 피호출 프로그램의 매개변수 상호전달 방식 또한 상위계층이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받을 때와 같은 매개변수 전달방식과 같다. 이러한 프로토콜 계층화 개념을 받아들여 상품화한 것이, IBM사가 1974년에 내놓은 SNA 이다.
SNA의 목적은 IBM사 제품뿐만 아니라 다른 회사 제품과의 컴퓨터 기기 상호 접속시 발생되는 여러 종류의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었다. SNA 이후 다른 회사들도 각자의 네트웍 구조를 내놓았는데, 이들의 목적 또한 네트웍간의 호환성 유지와 정보 전송 최소화에 있다.
PAP (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
PAP는 접속요청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PPP 서버에 의해 사용되는 절차이다. PAP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 링크가 확립되고 나면, 요청자는 ID와 패스워드를 서버로 보낸다.
- 서버는 그 요청을 확인하여 승인하거나, 접속을 끊는다 (때로는 ID와 패스워드를 다시 한번 입력할 수 있는 기회를 줄 수도 있다).
패스워드는 보안절차 없이 보내지며, 송신자는 액세스 승인을 얻어내기 위해 반복적인 시도를 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이유 때문에, CHAP을 지원하는 서버는 PAP를 사용하기 전에 CHAP 프로토콜 사용을 제공할 것이다. PAP 프로토콜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RFC 1334에 정의되어 있다.
POP (Point-Of-Presence) ; 상호접속 위치
POP[팝]은 인터넷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를 말한다. 그러므로, POP은 필수적으로 고유한 IP 주소를 가져야한다. 인터넷서비스제공자(ISP)나 온라인서비스제공업체(OSP)는 인터넷상에 많은 POP를 가지고 있다. 확보하고 있는 POP들의 개수로 ISP 또는 OSP의 크기나 성장속도를 측정하기도 한다.
POP은 실제로 ISP들이 접속되어 있는 한국통신 등의 통신업체에 일정공간을 임대하여 설치하는 수가 많다. POP에는 대개 라우터, 디지털/아날로그 전화 통합기, 서버, 그리고 프레임 릴레이나 ATM 스위치 등이 포함된다.
POP3 (Post Office Protocol 3)
POP3[팝 쓰리]는 전자우편을 수신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로서 가장 최신 버전이다. POP3는 인터넷 서버가 사용자를 위해 전자우편을 수신하고 그 내용을 보관하기 위해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이다. 사용자(또는 전자우편 수신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는 주기적으로 서버에 있는 자신의 메일 수신함을 점검하고, 만약 수신된 메일이 있으면 클라이언트 쪽으로 다운로드 한다. POP3는 가장 유명한 전자우편 제품 중의 하나인 유도라에 적용되었으며, 넷스케이프와 마이크로소프트 익스플로러 브라우저에도 역시 적용되었다.
POP3의 대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 IMAP이다. IMAP으로는 사용자는 설령 자신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메일이 있다고 해도, 서버에 있는 메일을 본다. 자신의 컴퓨터에서 지워진 메일도 서버에는 아직 남아있다. 메일은 서버에 보관될 수 있고 검색될 수 있다.
POP3는 '보관하고 전달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IMAP은 원격지 파일서버라고 생각할 수 있다.
POP과 IMAP은 둘 모두 전자우편을 받는 일을 담당하므로, 인터넷을 통해 전자우편을 전달하는 프로토콜인 SMTP와 혼동해서는 안된다. 송신자가 SMTP를 이용해서 메일을 보내면, 상대방 메일서버에 있는 메일처리기가 수신자를 대신해서 그것을 수신한다. 그리고 난 뒤 그 메일을 POP이나 IMAP을 이용하여 수신자가 읽게 되는 것이다.
PDU (Protocol data unit) ; 프로토콜 데이터 단위
PDU는 특정 계층의 프로토콜 안에서 두 개의 실체간에 교환되는 세분화된 데이터 블록의 단위를 기술적인 이름으로 구분해 부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많은 수의 사람들이 PDU나 프레임 등으로 엄격하게 구분해 사용하지 않고, 네트웍을 통해 이동하는 모든 데이터 단위를 그저 "패킷"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PPTP (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PPTP는 기업들이 인터넷상의 사설 "터널"을 통해 자신들의 기업용 사설 네트웍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실제로, 기업들은 하나의 거대한 근거리통신망으로서 광역통신망을 사용한다. 그러나, 기업들은 이제 광역통신망을 위해 더 이상 자신들만의 독립 회선을 빌릴 필요가 없으며, 공공 네트웍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접속을 가상사설망, 즉 VPN이라고 부른다.
마이크로소프트와 몇몇 회사들에 의해 제한된 표준인 PPTP와, 시스코 시스템즈에 의해 제한된 레이어2 포워딩은 그 중에서 새로운 IETF 표준의 기반으로 가장 잘 받아들여질 것 같은 제안이다. 인터넷 PPP의 확장판인 PPTP를 사용하면, PPP 클라이언트 지원을 사용하는 어떠한 PC 사용자들도 ISP를 통해, 그 사용자가 소속된 회사의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할 수 있게 될 것이다.
PPP (Point-to-Point Protocol)
PPP[피피피]는 두 대의 컴퓨터가 직렬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통신을 할 때 필요한 프로토콜로서, 특히 전화회선을 통해 서버에 연결하는 PC에서 자주 사용된다. 예를 들면, 대부분의 ISP (Internet server provider)들은 자신들의 가입자를 위해 인터넷 PPP 접속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서버가 응답하고, 그 서버를 통해 인터넷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 요구에 따른 응답을 다시 사용자에게 보내주는 등의 일을 할 수 있도록 한다. PPP는 IP를 사용하며, 때로 TCP/IP 프로토콜 군(群)의 하나로 간주된다. PPP는 OSI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참조모델과 비교하면 제 2계층에 해당하는 데이터링크 서비스를 제공한다. 본래 PPP는 컴퓨터의 TCP/IP 패킷들을 포장해서 그것들이 실제로 인터넷으로 보내어질 수 있도록 서버로 전달한다.
PPP는 전이중 통신 프로토콜로서 twisted pair나 광케이블 또는 위성통신 등 다양한 물리적인 매체 상에서 사용될 수 있다. PPP는 패킷의 캡슐화를 위해 HDLC의 변형 중의 하나를 사용한다.
PPP는 그 이전에 사실상의 표준이었던 SLIP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보다 낫다고 평가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PPP가 비동기식 통신 뿐 아니라 동기식 통신까지도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PPP는 다른 사용자와 하나의 회선을 공유할 수 있으며, SLIP에는 없는 기능인 에러검출 기능까지 가지고 있으므로, 선택이 가능하다면 PPP가 더 낫다할 수 있다.
Port 80 ; 80번 포트
웹서버나 HTTPD (Hypertext Transport Protocol daemon)에서, 80번 포트는 (서버를 설치할 때 기본설정을 취했다고 가정하면) 웹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구가 들어오기를 기대하는 포트이다. 이 포트는 NCSA 서버에서는 0~65536번의 범위 내에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서버관리자는 그 서버를 단 하나의 포트번호만이 인식되도록 설정한다. 기본적으로, 웹서버의 포트번호는 80번이다. 실험적으로 하는 서비스는 대개 8080번 포트에서 실행될 수 있다.
RIP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RIP[알아이피]는 기업의 근거리통신망, 또는 그러한 랜들이 서로 연결된 그룹과 같은 독립적인 네트웍 내에서 라우팅 정보 관리를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된 프로토콜이다. RIP는 IETF에 의해 여러 IGP 중의 하나로 분류되었다.
RIP를 사용하면, 라우터 내의 게이트웨이 호스트는 전체 라우팅 테이블을 가장 가까운 인근 호스트에 매 30초마다 보낸다. 인접한 호스트는 자신의 차례가 되면 그 정보를 그 다음 인접한 호스트로 넘기는데, 이러한 전달은 그 네트웍 내의 모든 호스트들이 같은 라우팅 경로 정보를 가질 때까지 계속된다. RIP는 네트웍 거리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홉의 총계를 사용한다 (다른 프로토콜들은 타이밍까지를 포함하는 보다 정교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네트웍 내에 라우터를 갖고 있는 각 호스트는 패킷을 전달할 다음 호스트를 결정하기 위해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사용한다.
RIP는 소규모 동종의 네트웍에서는 유효한 해결방안이라고 간주된다. 그러나, 보다 복잡하고 규모가 큰 네트웍에서 RIP가 전체의 라우팅 테이블을 매 30초마다 전송하는 것은 네트웍 내에 엄청난 량의 추가 부담을 준다.
RIP의 주요 대안으로 OSPF가 있다.
RTSP (real time streaming protocol)
RTSP는 월드와이드웹 상에서 스트리밍 데이터를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안이다. RTSP는 미국 컬럼비아 대학과 넷스케이프 및 RealNetworks 등에 의해 수행된 작업으로부터 비롯되었으며, 표준으로 지정 받기 위해 IETF에 제출되었다.
RTSP도 H.323과 마찬가지로, 멀티미디어 콘텐츠 패킷 포맷을 지정하기 위해 RTP를 사용한다. 그러나 H.323이 적당한 크기의 그룹간에 화상회의를 하기 위해 설계된 데 반해, RTSP는 대규모 그룹들에게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브로드캐스트 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되었다
RSVP (Resource Reservation Protocol) ; 자원예약 프로토콜
RSVP는 비디오와 다른 고대역폭의 멀티캐스트 메시지 전송을 위해 인터넷상의 채널들이나 경로들을 예약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토콜이다. RSVP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서비스, 실시간 서비스, 그리고 제어된 링크 공유 등을 보증하는 IIS (Internet Integrated Service) 모델의 일부이다.
인터넷의 기본적인 라우팅 철학은 "최선의 노력"으로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에 대해 충분히 잘 서비스 하고는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 물 흐르듯이 지속적인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비디오나 오디오 프로그램을 서비스하는 데에는 적당치 않다. RSVP를 이용하면, 인터넷을 통해 특정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기 원하는 사람들이 프로그램 시작 전에 인터넷 대역폭을 예약할 수 있으며, 평상시보다 좀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흐름과 빠른 속도로 수신할 수 있다. 방송 프로그램이 시작되면, 라우팅 우선 순위를 사전에 예약한 특정 사용자들에게 멀티캐스트 될 것이다. RSVP는 한 곳에서 다른 한 곳으로 전송하는 유니캐스트와, 여러 곳에서 하나의 목적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도 지원한다.
동작 원리
특정 비디오 프로그램이 월요일 저녁의 특정 시간에 멀티캐스트 된다고 가정해 보자. 그것을 수신하기 위해, 당신은 방송이 시작되기 전에 충분한 대역폭과 패킷 일정조정의 우선 순위를 할당받기 위해, RSVP 요청을 송신한다 (이를 위해서는 특별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거나, 브라우저에 그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한다). 이 요청은 RSVP 서버를 가지고 있으면서 사용자와 가장 가까이 위치하고 있는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가게 될 것이다. 당신이 보낸 예약 요청은, 당신이 예약을 할 자격이 있는 사람인지와, 만일 그렇다면 그보다 먼저 받아놓은 예약들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서도, 추가 예약을 받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대역폭이 남아있는지 어떤지 등을 감안하여 결정될 것이다. 예약이 받아들여졌다고 가정한다면, 게이트웨이는 당신의 예약을 멀티캐스트 방송이 송출되는 장소로 향하는 그 다음 게이트웨이로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당신의 예약은 행선지로 향하는 모든 경로에서 확실히 확보된다 (만약 그 예약이 행선지로 향하는 모든 경로에서 받아들여질 수 없다면, 그 예약은 취소된다).
멀티캐스트가 시작되면, 패킷은 높은 우선 순위를 가지고 인터넷을 통해 빠르게 전송된다. 게이트웨이에 도착한 패킷은, 일련의 큐를 사용하여 분류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타이머를 이용한 시간 조정 등이 이루어진다. RSVP 패킷은 매우 유연하므로, 패킷의 크기나, 데이터 형식 및 객체의 개수도 가변적일 수 있다. RSVP를 지원하지 않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패킷들이 움직여야하는 곳에서는, 일상적인 패킷들로서 터널링 될 수 있다. RSVP는 IPv4와 IPv6 둘 모두에서 작동한다.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는 근거리통신망 내에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장치가 게이트웨이의 ARP 목록이나 캐시로부터 자신의 IP 주소를 알아내기 위한 확인 요청을 하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웍 관리자는 근거리통신망의 게이트웨이 라우터 내에 물리적인 장치가 그에 상응하는 IP주소를 지칭하도록 목록표를 작성한다. 새로운 장치가 설정되었을 때, RAR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라우터 상의 RARP 서버에게 그 장치를 위한 IP 주소를 보내주도록 요청한다. RARP 서버는 라우터 목록 내에 새로운 엔트리가 설정되었다고 가정하여, 그 장치에게 IP 주소를 답신해 주게 된다.
RARP는 이더넷, FDDI, 토큰링 등의 근거리통신망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특징: ARP, BOOTP와 비교할 것
RTCP (real-time transport control protocol)
RTCP는 RTP의 QoS를 유지하기 위해 함께 쓰이는 프로토콜이다. RTP는 데이터 전송에만 관계하지만, RTCP는 데이터 전송을 감시하고, 세션 관련 정보를 전송하는데 관여한다. RTP 노드들은 네트웍 상태를 분석하고 주기적으로 네트웍 정체 여부를 보고하기 위해 RTCP 패킷을 서로에게 보낸다.
RTP와 RTCP는 모두 UDP 상에서 동작하므로, 그 특성상 품질보장이나 신뢰성, 뒤바뀐 순서, 전송 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는 못하지만, 실시간 응용에서 필요한 시간 정보와 정보 매체의 동기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최근 인터넷상에서 실시간 정보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애플리케이션 (VOD, AOD, 인터넷 방송, 영상 회의 등)들이 RTP 및 RTCP를 이용하고 있다.
RTP (real-time transport protocol) ;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
RTP는 오디오와 비디오와 같은 실시간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RTP 그 자체가 데이터의 실시간 전송을 보장하지는 않지만, 송수신 응용프로그램들이 스트리밍 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한다. RTP는 일반적으로, UDP 프로토콜 상에서 실행된다.
RTP는 산업계의 광범위한 지지를 받고 있다. 넷스케이프는 자사의 LiveMedia 기술에 대한 기반을 RTP에 두고 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자사의 제품인 NetMeeting이 RTP를 지원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SOAP (Symbolic Optimal Assembly Program, or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 SOAP (Symbolic Optimal Assembly Program)은 IBM 650의 어셈블리 언어이다. 여기서 "Optimal"이라는 말은 저속으로 회전하는 드럼 메모리 상에 재배열된 명령어들을 의미한다.
- SOAP (Simple Object Access Protocol)은 웹상의 객체들을 액세스하기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은 HTTP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텍스트 명령어를 보내기 위해 XML 구문을 쓴다. SOAP은 COM, DCOM, 인터넷 익스플로러, 마이크로소프트의 자바 이행 등 내에서 지원된다.
SNMP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 간이 망 관리 프로토콜
SNMP[에스엔엠피]는 비연결 지향 모드이며 TCP/IP에서 사용되고 TCP 대신 UDP의 최상위에서 동작한다. UDP/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를 주고 받으며, 네트웍 관리 및 네트웍 장치와 그들의 동작을 감시, 통할하는 프로토콜이다. 이것은 반드시 TCP/IP 네트웍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SNMP의 자세한 내용들은, 다음과 같이 IETF의 RFC에 나타나 있다.
RFC 1089 - SNMP over Ethernet
RFC 1140 - IAB Official Protocol Standards
RFC 1147 - Tools for Monitoring and Debugging TCP/IP Internets and Interconnected Devices [superceded by RFC 1470]
RFC 1155 - Structure and Identification of Management Information for TCP/IP based internets.
RFC 1156 (H)- Management Information Base Network Management of TCP/IP based internets
RFC 1157 - A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RFC 1158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Network Management of TCP/IP based internets: MIB-II
RFC 1161 (H)- SNMP over OSI
RFC 1187 - Bulk Table Retrieval! with the SNMP
RFC 1212 - Concise MIB Definitions
RFC 1213 - Management Information Base for Network Management of TCP/IP-based internets: MIB-II
RFC 1215 (I)- A Convention for Defining Traps for use with the SNMP
RFC 1224 - Techniques for Managing Asynchronously-Generated Alert!s
RFC 1270 (I)- SNMP Communication Services
RFC 1303 (I)- A Convention for Describing SNMP-based Agents
RFC 1470 (I)- A Network Management Tool Catalog
RFC 1298 - SNMP over IPX
RFC 1418 - SNMP over OSI
RFC 1419 - SNMP over IPX
특징: CMIP와 비교할 것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 접속 설정 프로토콜
SIP[십]은 매우 간단한 텍스트 기반의 응용계층 제어 프로토콜로서, 하나 이상의 참가자들이 함께 세션을 만들고, 수정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세션들에는 인터넷을 이용한 원격회의, 전화, 면회, 이벤트 통지, 인스턴트 메시징 등이 포함된다. SIP는 하위에 있는 패킷 프로토콜 (TCP, UDP, ATM, X.25)에 독립적이다.
SIP는 텍스트 기반의 SMTP와 HTTP 이후에 설계되었다. SIP는 클라이언트들이 호출을 시작하면 서버가 그 호출에 응답을 하는 클라이언트/서버 구조에 기반을 두고 있다. SIP는 이러한 기존의 텍스트 기반 인터넷 표준들에 따름으로써, 고장 수리와 네트웍 디버깅 등이 쉽다.
SIP의 주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 인터넷 멀티미디어 회의, 인터넷 전화, 멀티미디어 배포 등을 지원
- 멀티캐스트, 또는 망사형 유니캐스트 관계들을 통한 통신
- 교섭을 허용
- 프록시와 리다이렉트 등을 통해 "사용자 이동성"을 지원
- 하위계층 프로토콜에 독립적
- 특정 응용프로그램으로 확장이 가능
SIP는 IETF의 MMUSIC (Multiparty Multimedia Session Control) 작업그룹에서 개발되었다. SIP는 RFC 2543에 설명되어 있다.
SLIP (Serial Line Internet Protocol)
SLIP[슬립]은 TCP/IP 네트웍에 다이얼업 접속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데이터링크 프로토콜이다. 예를 들면,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가 사용자의 요구를 인터넷에 전달하고,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인터넷의 응답을 다시 사용자에게 되돌려주는 SLIP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에 다이얼업 접속을 하면 대개 직렬회선을 사용하므로 병렬회선이나 T-1과 같은 다중화 회선에 비해 느리다. SLIP은 PPP보다 오래되고 단순한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실제적인 측면에서 보면 SLIP을 이용하든, PPP를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든 큰 차이는 없다. SLIP은 IP 패킷들을 다이얼업과 같은 직렬 링크를 통해 전달한다.
특징: CSLIP, PPP과 비교할 것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 단순 우편전송 규약
SMTP[에셈티피]는 전자우편을 보내고 받는데 사용되는 TCP/IP 프로토콜이다. 그러나, 수신 측에서의 큐 메시지능력의 제한으로 인해, 대개 수신을 위해서는 POP3나 IMAP 중의 하나의 프로토콜을 쓰는 것이 보통이며, 이러한 프로토콜은 서버에 각자의 우편함을 두고 사용자 메시지를 저장한 다음, 주기적으로 서버에 접속하여 편지를 다운로드 하는 식으로 운영된다. 다른 말로 설명하면, 사용자들은 SMTP를 메일을 보내는데 주로 사용하며, POP3나 IMAP 프로토콜은 자신의 서버에 수신되어 있는 메시지를 받아보는데 사용한다는 말이다. 유도라와 같은 대부분의 메일 프로그램은 SMTP 서버와 POP 서버를 모두 설정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유닉스 기반의 시스템에서 sendmail은 전자우편용으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SMTP 서버이다. 상용 패키지인 Sendmail에는 POP3 서버가 포함되어 있으며, 윈도우NT 버전도 나온다.
SMTP는 대개 TCP 25번 포트에서 운영되도록 만들어진다. SMTP의 자세한 내용은 IETF의 RFC 821에 정의되어 있다. SMTP의 대안으로 유럽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것으로 X.400이 있다.
특징: POP, POP3와 비교할 것
TFTP (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
TFTP는 FTP보다 간단하지만 기능이 조금 덜한 네트웍 애플리케이션이다. 이것은 사용자 인증이 불필요하고, 디렉토리를 보여주지 않아도 되는 곳에 사용된다.
특징: TCP 대신에 UDP를 사용한다.
TCP/I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TCP/IP[티씨피 아이피]는 인터넷의 기본적인 통신 프로토콜로서, 인트라넷이나 엑스트라넷과 같은 사설 망에서도 사용된다. 사용자가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자신의 컴퓨터를 설정할때 TCP/IP 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이를 통하여 역시 같은 TCP/IP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컴퓨터 사용자와 메시지를 주고받거나, 또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된다.
TCP/IP는 2개의 계층으로 이루어진 프로그램이다. 상위계층인 TCP는 메시지나 파일들을 좀더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는 일과, 수신된 패킷들을 원래의 메시지로 재조립하는 일을 담당한다. 하위계층, 즉 IP는 각 패킷의 주소 부분을 처리함으로써, 패킷들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한다. 네트웍 상의 각 게이트웨이는 메시지를 어느 곳으로 전달해야 할지를 알기 위해, 메시지의 주소를 확인한다. 한 메시지가 여러 개의 패킷으로 나뉘어진 경우 각 패킷들은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그것들은 최종 목적지에서 재조립된다.
TCP/IP는 통신하는데 있어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는데, 컴퓨터 사용자(클라이언트)의 요구에 대응하여, 네트웍 상의 다른 컴퓨터(서버)가 웹 페이지를 보내는 식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TCP/IP는 본래 점대점(点對点) 통신을 하는데, 이는 각 통신이 네트웍 상의 한 점(또는 호스트 컴퓨터)으로부터 시작되어, 다른 점 또는 호스트 컴퓨터로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TCP/IP와 TCP/IP를 이용하는 상위계층의 응용프로그램들은 모두 "커넥션리스 (connectionless)"라고 불리는데, 이는 각 클라이언트의 요구가 이전에 했던 어떠한 요구와도 무관한 새로운 요구로 간주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상적인 전화통화가 통화시간 내내 지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 것과는 다르다). 커넥션리스는 네트웍을 독점하지 않으므로, 모든 사람들이 그 경로를 끊임없이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사실 TCP 계층 그 자체는 어떤 한 메시지가 관계되어 있는 한 커넥션리스가 아니라는데 유의해야 한다. TCP 접속은 어떤 한 메시지에 속하는 모든 패킷들이 수신될 때까지 계속 유지된다).
많은 인터넷 사용자들이 TCP/IP를 이용하는 상위계층 응용프로토콜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다. 이러한 상위계층 프로토콜에는 웹서비스에 사용되는 HTTP를 비롯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원격지의 컴퓨터에 로그온할 수 있게 해주는 Telnet, 그리고 파일전송에 사용되는 FTP 와 메일 전송에 사용되는 SMTP 등이 있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종종 TCP/IP와 함께 패키지로 일괄 판매된다.
PC 사용자들은 보통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해 SLIP이나 PP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러한 프로토콜들은 다이얼업 전화접속을 통해 접속서비스사업자의 모뎀으로 보내질 수 있도록 IP 패킷들을 캡슐화한다.
TCP/IP와 관련이 있는 프로토콜로 UDP가 있는데, 이것은 특별한 목적을 위해 TCP 대신에 사용되는 것이다. 라우팅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네트웍 호스트 컴퓨터에 의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에는 ICMP, IGP, EGP, 그리고 BGP 등이 있다.
특징: | OSI 7계층과 비교 | |
응용계층 | TELNET - FTP - SMTP - HTTP - DNS - SNMP - NNTP - NFS |
|
전송 계층 | TCP UDP |
|
인터넷 계층 | ICMP - IP - ARP - RARP |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접속 계층 | Ethernet - X.25 - Token - Token Bus - PPP |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계층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티씨피]는 인터넷상의 컴퓨터들 사이에서 데이터를 메시지의 형태로 보내기 위해 IP와 함께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IP가 실제로 데이터의 배달처리를 관장하는 동안, TCP는 데이터 패킷을 추적 관리한다 (메시지는 인터넷 내에서 효율적인 라우팅을 하기 위해 여러 개의 작은 조각으로 나뉘어지는데, 이것을 패킷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면, HTML 파일이 웹 서버로부터 사용자에게 보내질 때, 서버 내에 있는 TCP 프로그램 계층은 파일을 여러 개의 패킷들로 나누고, 패킷 번호를 붙인 다음, IP 프로그램 계층으로 보낸다. 각 패킷이 동일한 수신지 주소(IP주소)를 가지고 있더라도, 패킷들은 네트웍의 서로 다른 경로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다른 한쪽 편(사용자 컴퓨터 내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있는 TCP는, 각 패킷들을 재조립하고, 사용자에게 하나의 완전한 파일로 보낼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TCP는 연결지향 프로토콜이라고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메시지들이 각단의 응용 프로그램들에 의해 교환되는 시간동안 연결이 확립되고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TCP는 IP가 처리할 수 있도록 메시지를 여러 개의 패킷들로 확실히 나누고, 반대편에서는 완전한 메시지로 패킷들을 재조립할 책임이 있다.
특징: OSI 통신모델에서 4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 속한다.
T.120
T.120은 여러 명의 사용자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실시간 데이터 회의를 하기 위한 ITU 표준으로서, 여기에는 화이트보드, 응용프로그램 검색 및 공유 등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정의되어 있다. T.120은 데이터 회의의 모든 측면을 정의하는 일련의 규격들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이다. 그러므로, 완전한 표준은 다음의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다.
- T.121 - Generic Application Template : T.120 응용프로그램의 공통 구조
- T.122 - 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 : T.125에서 구현된 T.123 네트웍의 서비스 정의
- T.123 - Audiovisual Protocol Stacks : 터미널과 MCU 등을 위한 프로토콜 계층들
- T.124 - Generic Conference Control : 회의관리 (개설, 종료 등)
- T.125 - Multipoint Communication Service : T.122의 프로토콜 구현
- T.126 - Still Image & Annotation Protocol : 화이트보드, 그래픽 이미지 등의 교환
- T.127 - Multipoint Binary Transfer : 바이너리 파일 교환을 위한 프로토콜
- T.128 - Audio Visual Control : 대화식 제어 (라우팅, 신원확인, 원격제어, 매체 선택 등)
- T.130 - Realtime Architecture : T.120과 H.320 간의 상호작용
- T.131 - Network Specific Mappings : T.120과 함께 사용된 실시간 데이터의 랜을 통한 전송
- T.132 - Realtime Link Management :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의 생산 및 라우팅
- T.133 - Audio Visual Control Services : 실시간 데이터 스트림의 제어
- T.RES - Reservation Services : 장치들과 예약 시스템간의 상호작용
- T.Share - Application Sharing Protocol : 원격제어 프로토콜
- T.TUD - User Reservation : 사용자 정의 데이터의 전송
UDP (User Datagram Protocol)
UDP[유디피]는 IP를 사용하는 네트웍 내에서 컴퓨터들 간에 메시지들이 교환될 때 제한된 서비스만을 제공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UDP는 TCP의 대안(代案)이며, IP와 함께 쓰일 때에는 UDP/IP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TCP와 마찬가지로 UDP도 한 컴퓨터에서 다른 컴퓨터로 데이터그램이라고 불리는 실제 데이터 단위를 받기 위해 IP를 사용한다. 그러나 UDP는 TCP와는 달리, 메시지를 패킷(데이터그램)으로 나누고, 반대편에서 재조립하는 등의 서비스는 제공하지 않으며, 특히 도착하는 데이터 패킷들의 순서를 제공하지 않는다. 이 말은 UDP를 사용하는 응용프로그램은, 전체 메시지가 올바른 순서로 도착했는지에 대해 확인할 수 있어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교환해야할 데이터가 매우 적은(그러므로 재조립해야할 메시지도 매우 적은) 네트웍 응용 프로그램들은 처리시간 단축을 위해 TCP 보다 UDP를 더 좋아할 수 있다. 일례로 TFTP는 TCP 대신에 UDP를 사용한다.
UDP는 IP 계층에서 제공되지 않는 두 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하나는 다른 사용자 요청을 구분하기 위한 포트 번호와, 도착한 데이터의 손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체크섬 기능이다.
특징: OSI 계층에서 TCP와 마찬가지로 4계층인 트랜스포트 계층에 속한다.
UUCP (UNIX-to-UNIX Copy Protocol)
UUCP는 다른 유닉스 시스템들 간에 파일을 복사하고, 다른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명령어들을 보내기 위한 유닉스 프로그램 세트로서, UUCP의 주요 명령어들은 다음과 같다.
- uucp : 특정 파일을 지정한 다른 시스템으로 복사할 것을 요청
- uux : 유닉스 명령어를, 실행될 다른 시스템으로 보냄
- uucico : 복사를 수행하고, 보내어진 명령어 수행을 시작하는 프로그램으로서 유닉스 시스템 상에서 실행된다. 일반적으로, 이 프로그램은 하루에 여러 번 실행되는데, 그 동안에 복사 (uucp) 및 명령어 (uux) 요청들은 uucico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까지 큐에 저장된다.
- uuxqt : uucico 프로그램에 의해 시작되어진 후, uux에 의해 보내진 명령어들을 수행한다.
uucico 프로그램들은 실제로 네트웍 상에서 통신하는 프로그램들이다. 사용되는 네트웍 운송 수단의 종류에 따라, uucico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몇 가지 네트웍 프로토콜들이 존재한다.
VoIP (voice over IP [Internet Protocol])
VoIP[뷔오 아이피]는 IP를 사용하여 음성정보를 전달하는 일련의 설비들을 위한 IP 전화기술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공중교환전화망인 PSTN 처럼 회선에 근거한 전통적인 프로토콜들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들 내에 디지털 형태로 음성정보를 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VoIP와 인터넷 전화기술의 주요 장점은 기존 IP 네트웍을 그대로 활용해 전화서비스를 통합 구현함으로써 전화 사용자들이 시내전화 요금만으로 인터넷, 인트라넷 환경에서 시외 및 국제전화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VoIP는 공중 인터넷 또는 기업내부의 인트라넷상에서 IP를 이용해 음성(소리)과 비디오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인 ITU-T H.323의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VoIP 포럼을 통해 시스코, 보컬텍, 3Com, 넷스피크 등 주요 장비제작회사들이 노력함으로써 이루어졌다. VoIP 포럼은 또한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을 장려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다른 사용자들의 위치를 찾아낼 수 있고, 자동 전화분배와 음성메일을 위한 터치폰 신호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VoIP는 원래의 IP 기능에 더하여, 패킷들이 적시에 도착하도록 지원하기 위해 RTP를 사용한다. 공중 네트웍을 사용하면, 현재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하기에 어렵다. 독자적인 기업이나, 인터넷 전화서비스 공급자 (ITSP)에 의해 관리되는 사설 네트웍을 사용하면 더 나은 서비스가 가능하다. 빠른 패킷 전달을 보장하기 위해 넷스피크라는 장비 제작자에 의해 사용되는 기술은, 상대편과 TCP 소켓 접속을 확립하기 전에 공중 네트웍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네트웍 게이트웨이에 핑을 해서, 그 결과를 토대로 가장 빠른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다.
VoIP를 사용하려면, 기업은 게이트웨이에 시스코의 AS5300 액세스 서버와 같은 VoIP 장비를 설치해야한다. 게이트웨이는 회사내의 사용자들로부터 패킷으로 나뉘어진 음성전달을 받아서, 그것을 인트라넷의 다른 부분으로 발송하거나 T-1 또는 E1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PSTN으로 전송한다
특징: IEEE802.12 에서 정의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무선 응용 통신규약
WAP은 셀룰러폰이나 무선호출기 등과 같은 무선장치들이 전자우편, 웹, 뉴스그룹 및 IRC 등의 인터넷 액세스에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표준화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들의 규격이다. 과거에도 인터넷 접속은 가능했지만, 제작회사마다 모두 다른 기술을 사용하였다. 앞으로는, WAP을 쓰는 장치들과 서비스 시스템들끼리 호환성과 상호운용성을 갖게 될 것이다.
WAP 계층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Wireless Application Environment (WAE)
- Wireless Session Layer (WSL)
- Wireless Transport Layer Security (WTLS)
- Wireless Transport Layer (WTP)
WAP은 에릭슨, 모토로라, 노키아 그리고 Unwired Planet (후에 Phone.com이 됨) 등 네 회사에 의해 구상되었다.
- Total
- Today
- Yesterday
- CDPUserSvc
- 볼링
- UI변경
- Cross-origin
- Vista
- 테더링 링크
- Variable-Length Argument Lists
- 시작메뉴초기화
- 윈도우 인코딩 설정
- 크리스마스 파티
- 화면잠금 단축아이콘
- 모데기 모임
- CORS
- 은행나무숲
- 함양 나들이
- One UI
- win10
- 64비트
- antimalware
- 모데기
- 제약산
- d90
- 옹이생일
- 오라클 계정 생성
- 보라매공원
- 제주도기행
- TMP
- cvs설정
- 작업표시줄투명처리
- @tistory.co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