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ubstring :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잘라내겠다 (java의 substring과 같다) 2. substr : 어디서부터 몇번째까지 잘라내겠다 예제) "abcdefg" 라는 문자열이 있으면 substring(2, 4) 를 하면 "cd"의 결과가 나오고 substr(2, 4) 를 하면 "cdef"가 나온다. substring의 뜻은 인덱스 2번째 문자에서 인덱스 4번째 문자까지를 가져오겠다는 뜻. substr의 뜻은 인덱스 2번째 문자에서부터 뒤로 4개를 가져오겠다. [출처] javascript substring substr 차이점을 아느냐 ?|작성자 천재
이클립스에 dynamicWebProject를 만들면 자동으로 폴더가 몇개 생성된다. 그중 Build는 src에서 자바코드를 작성하면 자동으로 컴파일되는 폴더인데, 자바웹에서는 WEB-INF\classes 아래에 있는 클래스만 자동 인식한다. Build 경로를 프로젝트명/WebContent/WEB-INF/classes 로 classes폴더를 만들어서 설정해준다. 설정방법: 생성한 프로젝트를 선택한후 우클릭하여 Propertise를 클릭 Java Build Path 선택 Default output folder 부분에 프로젝트명/build/classes 이런식으로 되어있다. 변경해주자. Source탭을 선택한후 Browse 클릭한다. /WebContent/WEB-INF/ 선택한후 Create New Folde..
클래스 디자인의 5원리 * SRP (The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모든 객체는 하나의 책임만 지도록 하고 그 객체는 이 책임을 위해 최소한의 서비스만 갖는다. 흔히 여기서 말하는 '책임'을'변경하는 이유'로 바꿔서 표현하곤 한다. 즉 어떤 객체를 변경하는 이유는 한가지 뿐이여야 한다는 것이다. http://en.wikipedia.org/wiki/Single_responsibility_principle * OCP (The Open Closed Principle) 정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요소(객체, 모듈, 함수 등)은 확장에 대해서는 열려있지만 변경에 대해서는 닫혀있어야 한다' 이다. 이 말은 소스코드를 고치지 않고 객체의 행동을 바꿀 수 있다는 말로 이해할 수 있다. ..
Tomcat Server 생성시 [Cannot create a server using the selected type] 발생시 WorkSpace 폴더 안에 다음 경로를 찾는다. --------------------------------------------------------- .metadata\.plugins\org.eclipse.core.runtime\.settings --------------------------------------------------------- 여기에서 org.eclipse.wst.server.core.prefs org.eclipse.jst.server.tomcat.core.prefs 이 두 파일을 지우고 Eclipse Restart!! [출처] [Eclipse] Cann..
public static String convertIntegerToIp(long ip) { StringBuffer buf = new StringBuffer(); buf.append(((ip >> 24 ) & 0xFF)).append(".") .append(((ip >> 16 ) & 0xFF)).append(".") .append(((ip >> 8 ) & 0xFF)).append(".") .append(( ip & 0xFF)); return buf.toString(); } public static long convertStringToIntegerIp(String ip) { String[] parts = ip.split("\."); return (Long.valueOf(parts[0])
RMI Server 프로그램을 작성 후 Server 실행시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 java.rmi.ServerException: RemoteException occurred in server thread; nested exception is: java.rmi.UnmarshalException: error unmarshalling arguments; nested excep tion is: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Stub클래스파일_Stub
Socket과 RMI의 속도 차이는 아마 직렬화 때문에 발생할 것 같습니다. 보통 객체의 Serialization (직렬화)는 오버헤드가 크고 속도가 느립니다. Socket은 직접 프로그래밍을 하기 때문에 데이터를 넘겨 줄 때 필요한 데이터만 넘겨줄 수 있습니다. 또는 최적화해서 넘겨줄 수도 있겠고요. 그렇지만 RMI는 내부적으로 전달되는 모든 데이터를 직렬화 해서 넘겨 주고, 프로그래머가 직접 최적화하기 어렵기 때문에 Socket에 비해서 속도가 느릴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받는 쪽에서도 직렬화 된 스트림을 복구해서 다시 객체로 변환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오버헤드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흠... 제 생각에는 별로 크지 않은 문자열 및 파라미터를 넘겨줄 경우에는 RMI를 써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CDPUserSvc
- 모데기
- 64비트
- 제약산
- cvs설정
- 윈도우 인코딩 설정
- Vista
- 작업표시줄투명처리
- 테더링 링크
- 함양 나들이
- 크리스마스 파티
- 은행나무숲
- CORS
- 오라클 계정 생성
- 화면잠금 단축아이콘
- antimalware
- Variable-Length Argument Lists
- win10
- 제주도기행
- 보라매공원
- 옹이생일
- TMP
- d90
- UI변경
- 시작메뉴초기화
- 볼링
- One UI
- @tistory.com
- 모데기 모임
- Cross-origin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